먼저 weblogic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.
테스트 버전은 10gR3 입니다.
1. 시작 - 프로그램 - OracleWeblogic - WebLogicServer 10gR3 - Tools - Configuration Wizard
으로 configurationWizard 를 실행 시켜도 되지만,
2. 웹로직 도메인 생성을 시작합니다.
3. 앞서 깔았던 workshop 또한 같이 설치할것이면 workshop for WebLogic 10.3 을 체크해도 되지만,
거의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설치 하지 않는다고 한다.
개발모드일때는 설치해도 무방...
4. console admin 창을 들어가기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.
보통 예전에는 weblogic, weblogic 을 많이 썼었는데,
요즘엔 통상 weblogic, welcome1 이렇게 쓴다고 하네요 ^^
아무튼, 자기가 적어둔 패스워드와 아이디는 까먹지 않도록 합시다~
5. java 의 JDK 버전을 선택 합니다.
개발모드일때는 Sun JDK 를 쓰도록 하고요, 프로덕트 모드일때는 JRockit SDK 를 선택하라고 써져있습니다.
자, develop 모드이므로 sun JDK 를 선택하고 NEXT!
6. 커스터마이징 옵션에 관한 내용 입니다.
여기서 NO 를 체크하게 되면 13 번으로 바로 넘어가게 되구요,
YES 를 하게 되면 7번부터 차근차근 넘어가게 됩니다.
YES 를 할 경우엔, MANAGED SERVER 를 생성할수 있고, 클러스터도 생성 할 수가 있습니다.
자, 어디한번 여러대의 서버를 생성해 볼까요?~
YES 클릭 후 NEXT!
7. 자, 첫번째로 AdminServer 이름에 대한 변경과 포트 번호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.
기본 웹로직 포트는 7001 번 이죠~
아참, 팁으로 알아두세요~ 웹로직은 홀수 번호 포트를 쓴다고 합니다.
7001 이면 다음껀 7003, 7005, 7007 ... 이런식의 홀 수 번호를 쓴다고 하네요 ^^
8. 자, 이번엔 어드민 서버가 아니라 managed Server 를 생성하는것 입니다.
Add 아이콘을 눌러 새로 하나 생성할 수도 있고 Delete 를 눌러 삭제가 가능 합니다.
*Name M1이라는 이름을 지정한 녀석을 만드는 중입니다.
*Listen Address 에는 All Local Address 네요...
이건 특정 아이피만 허용 할때 저 All LocalAddress 를 지우고 아이피를 적어주게 되면 해당 아이피만 접속이 가능합니다.
*Listen Port 는 7003 을 줍니다.
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weblogic 포트는 홀 수 로 나가니깐요~
Listen Port 는 7003번 포트를 통해서 들어오겠다는 얘기입니다.
9. 자, 이번엔 Cluster 설정입니다.
managed Server 와 마찬가지로 add로 추가가 가능하고 delete 로 삭제가 가능합니다.
물론 여기서 안만들고 admin console 에서도 생성이 가능하므로 필요한데 못만들었다고 해서
너무 좌절할 필요는 없답니다 ^^
클러스터란....
쉽게말해 2개의 서버를 공유한다는 뜻입니다.
A라는 서버와 B라는 서버 2개가 있었을때, 이 A,B 서버를 클러스터링 하게 되면,
A서버가 다운되더라도 사용자는 B 서버로 자동으로 붙게되어 사용자는 서버가 죽은지 알 필요가 없이
장바구니에 장을 볼 수 있습니다 ^^;
*Name c1이라는 이름을 지정한 녀석을 만드는 중입니다.
*Multicast address : 239.192.0.0
일단 네트워크 통신개념을 알아야 하네요 Multicast Address 는 통신방식이 UPD 네요
UPD는 트래픽 손실이 가능하고 D클래스입니다
*Multicast port : 7001
AdminServer 의 포트번호와 같게 주었습니다.
Next~
10. 자, 여기 M1서버가 보이고 클러스터인 C1이 보이네요
M1서버를 C1클러스터로 묶겠습니다.
M1을 선택하고 화살표 -> 를 누르게 되면 c1안으로 m1 이 들어간게 보입니다
NEXT~
11. machine 에 관한 설정이 또 나옵니다.
machine 이 2대일 경우에는 설정해줍니다.
전 없으므로 아무것도 생성하지 않고 NEXT~
12. 마지막으로 server -> cluster -> machine 설정 후의 review 화면 입니다.
당신이 설정한게 맞는지 확인하세요 ^^
13. 도메인 이름을 쓰는 곳입니다.
처음에 base_domain 이라고 써져 있는데 이름변경이 가능하므로 전 test_domain 이라고 적었습니다.
도메인이 있어야할 지정 위치도 가능합니다.
6번에서 no 를 선택하면 7~12 번의 화면을 보실수 없이 바로 13번으로 오게 됩니다 ^^
나중에 admin console 에서도 생성이 가능하오니, no 로 도메인을 만들었다고 해서 속상해 하지 않아도 됩니다.
자,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쓰고 create ~
14. 도메인 생성이 되었네요.
done 을 누르면 됩니다.
테스트 버전은 10gR3 입니다.
1. 시작 - 프로그램 - OracleWeblogic - WebLogicServer 10gR3 - Tools - Configuration Wizard
으로 configurationWizard 를 실행 시켜도 되지만,
c:\bea\wlserver_10.3\common\bin\config.cmd 를 실행시켜도 똑같이 변경이 된다.
2. 웹로직 도메인 생성을 시작합니다.
3. 앞서 깔았던 workshop 또한 같이 설치할것이면 workshop for WebLogic 10.3 을 체크해도 되지만,
거의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설치 하지 않는다고 한다.
개발모드일때는 설치해도 무방...
4. console admin 창을 들어가기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.
보통 예전에는 weblogic, weblogic 을 많이 썼었는데,
요즘엔 통상 weblogic, welcome1 이렇게 쓴다고 하네요 ^^
아무튼, 자기가 적어둔 패스워드와 아이디는 까먹지 않도록 합시다~
5. java 의 JDK 버전을 선택 합니다.
개발모드일때는 Sun JDK 를 쓰도록 하고요, 프로덕트 모드일때는 JRockit SDK 를 선택하라고 써져있습니다.
자, develop 모드이므로 sun JDK 를 선택하고 NEXT!
6. 커스터마이징 옵션에 관한 내용 입니다.
여기서 NO 를 체크하게 되면 13 번으로 바로 넘어가게 되구요,
YES 를 하게 되면 7번부터 차근차근 넘어가게 됩니다.
YES 를 할 경우엔, MANAGED SERVER 를 생성할수 있고, 클러스터도 생성 할 수가 있습니다.
자, 어디한번 여러대의 서버를 생성해 볼까요?~
YES 클릭 후 NEXT!
7. 자, 첫번째로 AdminServer 이름에 대한 변경과 포트 번호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.
기본 웹로직 포트는 7001 번 이죠~
아참, 팁으로 알아두세요~ 웹로직은 홀수 번호 포트를 쓴다고 합니다.
7001 이면 다음껀 7003, 7005, 7007 ... 이런식의 홀 수 번호를 쓴다고 하네요 ^^
8. 자, 이번엔 어드민 서버가 아니라 managed Server 를 생성하는것 입니다.
Add 아이콘을 눌러 새로 하나 생성할 수도 있고 Delete 를 눌러 삭제가 가능 합니다.
*Name M1이라는 이름을 지정한 녀석을 만드는 중입니다.
*Listen Address 에는 All Local Address 네요...
이건 특정 아이피만 허용 할때 저 All LocalAddress 를 지우고 아이피를 적어주게 되면 해당 아이피만 접속이 가능합니다.
*Listen Port 는 7003 을 줍니다.
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weblogic 포트는 홀 수 로 나가니깐요~
Listen Port 는 7003번 포트를 통해서 들어오겠다는 얘기입니다.
9. 자, 이번엔 Cluster 설정입니다.
managed Server 와 마찬가지로 add로 추가가 가능하고 delete 로 삭제가 가능합니다.
물론 여기서 안만들고 admin console 에서도 생성이 가능하므로 필요한데 못만들었다고 해서
너무 좌절할 필요는 없답니다 ^^
클러스터란....
쉽게말해 2개의 서버를 공유한다는 뜻입니다.
A라는 서버와 B라는 서버 2개가 있었을때, 이 A,B 서버를 클러스터링 하게 되면,
A서버가 다운되더라도 사용자는 B 서버로 자동으로 붙게되어 사용자는 서버가 죽은지 알 필요가 없이
장바구니에 장을 볼 수 있습니다 ^^;
*Name c1이라는 이름을 지정한 녀석을 만드는 중입니다.
*Multicast address : 239.192.0.0
일단 네트워크 통신개념을 알아야 하네요 Multicast Address 는 통신방식이 UPD 네요
UPD는 트래픽 손실이 가능하고 D클래스입니다
*Multicast port : 7001
AdminServer 의 포트번호와 같게 주었습니다.
Next~
10. 자, 여기 M1서버가 보이고 클러스터인 C1이 보이네요
M1서버를 C1클러스터로 묶겠습니다.
M1을 선택하고 화살표 -> 를 누르게 되면 c1안으로 m1 이 들어간게 보입니다
NEXT~
machine 이 2대일 경우에는 설정해줍니다.
전 없으므로 아무것도 생성하지 않고 NEXT~
12. 마지막으로 server -> cluster -> machine 설정 후의 review 화면 입니다.
당신이 설정한게 맞는지 확인하세요 ^^
13. 도메인 이름을 쓰는 곳입니다.
처음에 base_domain 이라고 써져 있는데 이름변경이 가능하므로 전 test_domain 이라고 적었습니다.
도메인이 있어야할 지정 위치도 가능합니다.
6번에서 no 를 선택하면 7~12 번의 화면을 보실수 없이 바로 13번으로 오게 됩니다 ^^
나중에 admin console 에서도 생성이 가능하오니, no 로 도메인을 만들었다고 해서 속상해 하지 않아도 됩니다.
자,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쓰고 create ~
14. 도메인 생성이 되었네요.
done 을 누르면 됩니다.
'WAS > Weblog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blogic] OS - UNIX 환경에 Weblogic 11g (10.3.3.0) 설치 (1) | 2010.06.02 |
---|---|
[EJB] Weblogic 에서 SessionBean Test (1) | 2010.01.19 |
[Weblogic] WLS10gR3 window 에 설치 (0) | 2010.01.15 |
Weblogic 에서 Oracle & as400DB2 DataSource 설정 (0) | 2009.11.03 |
weblogic 10gR3. hotDeploy 에 대해 알아봅시다 (2) | 2009.08.31 |